정신 차리니 수북한 과자 봉지…먹을 때 딴짓하면 ‘뱃살 부자’

페이지 정보

작성자 이창주 작성일23-07-21 00:01 조회20회 댓글0건

본문

한참 집중해서 일하거나 공부하고 난 뒤 정신 차리고 책상을 보니 다 먹은 초콜릿, 사탕, 과자 봉지가 수북이 쌓여 있는 것을 보고 놀란 경험이 한 번쯤은 있을 것이다. “내가 이걸 언제 다 먹었지?” 하는 생각이 들 정도로 순식간에 많은 양을 먹었을 수도 있다. 하지만 후회는 늦었다. 이미 수백 칼로리의 열량이 몸 안에 흡수되고 난 뒤다. 여러 번 반복되다 보면 어느새 뱃살도 훅 늘어나고 만다.

딱히 배가 고픈 것도 아니었는데 왜 이런 일이 일어날까. 집중력을 발휘했기 때문에 소위 말하는 ‘당이 떨어져서’일까? 아니면 스트레스받아 단 음식이 당겨서? 물론 뇌에서 필요한 에너지를 요구한 것일 수 있지만 단지 그뿐만은 아니다. 우리의 인지, 감각, 욕구 등 폭식의 또 다른 이유가 되는 심리적 차원의 원인을 알아보자.



멀티테스킹 하면 음식 맛이 덜 느껴진다

정신이 딴 데 팔린 상황에서 음식을 먹으면 평소보다 더 많이 먹게 된다. 미각을 느끼는데 들어가야 할 에너지가 이미 다른 곳에 쓰이고 있어서 맛이 덜 느껴지는 탓이다. 맛에 대한 지각 정도가 떨어지면 덜 달고 덜 짜다고 느껴지기 때문에, 충분히 달고 짜다고 느낄 수 있는 만큼 많이 먹게 된다.


롯데 반 딜렌 네덜란드 라이덴대 심리학과 교수의 연구는 이런 특성을 잘 보여준다. 연구팀은 실험 참가자를 두 그룹으로 나눴다. 첫 번째 그룹에는 어려운 암기 과제를, 두 번째 그룹에는 쉬운 암기 과제를 줬다. 그러고 나서 이들이 암기하는 동안 레몬주스(신맛), 시럽 음료(단맛), 소금버터 크래커(짠맛)를 주고 각각의 맛이 어느 정도로 강하게 느껴지는지 평가하도록 했다.

실험 결과 어려운 암기 과제를 한 첫 번째 그룹이 세 가지 맛 모두에 대해 두 번째 그룹보다 ‘맛이 약하다’고 평가했다. 정신적 에너지가 암기에 쏠리면서 미각이 둔해진 것이다. 특히 짠맛에 대한 민감도가 떨어졌다. 이들은 암기하는 동안 신맛, 단맛, 짠맛을 충분히 느낄 수 있을 정도로 각각의 음식을 양껏 먹어보라고 주문받았다. 그러자 어려운 암기를 하는 그룹은 쉬운 암기를 하는 그룹보다 소금버터 크래커를 훨씬 많이 먹었다. 연구팀은 “주의가 흩어지면 자기 조절 능력이 약화되고, 자극적인 맛의 정도를 구별하기 어려워지기 때문에 과식하기 쉬워진다”고 했다.



뇌가 바쁠 땐… 나도 모르게 “더 달고 더 짜게”

연구팀은 또 다른 실험에서 참가자들에게 암기 과제를 하는 동안 각자 기호에 맞게 레모네이드를 만들어 보게 했다. 이번에도 실험참가자를 어려운 암기 과제 그룹과 쉬운 암기 과제 그룹으로 나눴다. 그리고 레모네이드를 다 만들고 나면 이 음료가 얼마나 달콤하고 기분을 좋게 만들어 줬는지도 평가해 보라고 했다.


앞서 소개한 실험 결과에서 유추할 수 있듯이 이번에도 어려운 암기 과제를 한 이들이 레모네이드에 시럽을 훨씬 더 많이 넣었다. 심지어 그렇게 시럽을 넣고도 이들은 쉬운 암기 과제 그룹에 비해 자신이 만든 레모네이드가 더 달다거나, 더 기분을 좋게 만들어 준다고 답하지 않았다. 뇌가 바빠지면 맛이 웬만큼 강렬하지 않고서야 음식 맛에 만족하기 힘들어지기 때문이다. 연구팀은 “TV를 보거나 운전하면서 음식을 먹으면 감각의 민감도가 떨어져 평소보다 많이 먹거나, 더 달고 짜게 먹는 등 부정적인 식습관이 생길 수 있다”고 경고했다.

먹으면서 딴짓하면 미각뿐 아니라 후각도 둔해진다. 독일 아헨공과대 제시카 프라이헤르 교수 연구팀이 실시한 연구에서는 다른 일에 정신이 팔려있을 때 후각도 둔감해진다는 결과가 나왔다. 후각 정보를 처리하는 뇌의 영역을 기능적 자기공명영상(fMRI)으로 관찰한 결과, 높은 집중력이 필요한 과제를 하는 이들은 쉬운 과제를 하는 이들보다 사과나 오렌지 등의 냄새를 제대로 맡지 못했다. 다른 일을 하면서 음식을 먹을 때 미각을 잘 못 느끼는 것과 유사한 결과다.



‘의식 vs 습관’ 싸움에서 이기려면


배가 고프지 않더라도 눈앞에 보이는 간식을 지속적으로 집어 먹는 습관이 있다면, 먹을 때 멀티테스킹을 하는 것은 다이어트에 더욱 치명적일 수 있다. 평소에는 습관적으로 간식에 손이 가더라도, 말똥말똥한 의식체계는 간식을 먹을까 말까 고민하며 먹는 양을 조절할 수 있다. 하지만 멀티테스킹을 시작하면, 의식체계는 다른 곳에 에너지를 쓰게 되고 습관을 관장하는 뇌 부위를 제어할 수 없게 된다. 한 마디로 습관 체계의 고삐가 풀리게 되는 것이다.

엘리자베스 트리코미 미국 럿거스대 심리학과 교수 연구팀은 fMRI를 통해 간식을 습관적으로 먹는 이들의 뇌에서 일어나는 신경 활동을 관찰했다. 이들은 배가 고프건 배가 부르든 뇌에서 음식을 먹으라고 명령을 보내는 뇌 부위(복내측전전두엽피질)가 계속 활성화 됐다. 한마디로 아무때나 먹어온 잘못된 식습관 때문에 ‘배고프면→먹는다’라는 뇌의 보상회로가 고장이 난 것이다.

이런 상태에서 일, 공부, TV 시청, 운전, 수다 등 다른 곳에 주의를 집중하면 의식체계가 바쁘게 일하는 동안 습관 체계가 마음대로 돌아가게 된다. 뇌의 잘못된 명령을 알아차리고 교통정리를 해야 하는 의식체계가 바빠지는 순간 습관 체계의 뜻대로 움직이게 되는 것이다.



먹고 마실 땐 하던 일 멈추고 휴식해야

이 같은 연구 결과들이 말해주듯 음식을 먹을 때 다른 곳에 주의를 쏟으면 나도 모르게 과식하기 쉽다. 특히 혼자 밥 먹는 혼밥족들이 음식을 먹으면서 영상을 보거나 스마트폰을 하면, 차분하게 밥만 먹을 때 보다 더 많이 먹게 되고 비만 가능성이 높아질 수 있다. 바쁘다는 이유로 일하면서 동시에 밥을 먹을 때도 이와 마찬가지로 위험하다.

미식가였던 세계적 성악가 루치아노 파바로티는 생전에 “인생에서 가장 좋은 점은 뭘 하든지 정기적으로 하던 일을 멈추고 먹는 것에 집중해야 한다는 것”이라고 말했다. 잠깐이라도 하던 일을 멈추고 음식에 집중하지 않는다면, 지각 능력도 떨어질 뿐 아니라 생각하고 결정하는 능력이 약해질 수 있다. 바쁜 하루 중 먹고 마실 때만이라도 편안하게 휴식을 취하며 뇌도 함께 쉬게 하는 것은 어떨까.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