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성 지능을 키우려면?

페이지 정보

작성자 이창주 작성일23-06-03 23:43 조회53회 댓글0건

본문

우리는 오늘도 누군가와 소통을 하며 살아갑니다. 부모, 자식, 부부, 연인, 친구, 선생님, 직장 동료 등등. 우리 일상의 많은 부분이 누군가와 대화를 통해 교류하는 시간으로 채워집니다. 그러나 누군가와의 소통이 항상 원활하게만 이루어지는 것은 아닙니다. 

상대방의 이야기에는 관심을 보이지 않으면서 자기 이야기만 하는 사람, 반대로 자기 속내는 전혀 드러내지 않는 사람, 상대방의 의도를 곡해해서 듣는 사람, 다른 사람의 입장은 배려하지 못하고 생각 없이 툭툭 말을 내뱉는 사람, 상대의 속상한 마음을 전혀 몰라주는 사람처럼 다양한 상황에서 서로 다른 입장과 견해의 차이로 인해 소통에 어려움을 겪곤 합니다.

그런데 누군가와 소통을 잘하기 위해서는 단순히 대화를 주고받는 형식적인 방식만으로는 곤란합니다. 다른 사람의 감정 경험을 주의 깊게 인식하는 ‘사회성 지능’을 비롯해 ‘경청하는 태도’와 ‘공감적 듣기’가 중요합니다. 여기서 공감적 듣기란, 상대의 말을 분석하거나 판단하지 않고, 상대의 관점에서 그 사람의 생각이나 감정을 깊이 있게 이해하려는 태도를 말합니다.

이런 공감적 듣기도 '소극적인 태도'와 '적극적인 태도'로 나뉩니다. 소극적인 태도는 말하는 사람이 이야기할 때 가볍게 고개를 끄덕이거나 맞장구를 쳐 주는 식으로 반응해 주는 것입니다. 상대방의 이야기에 귀를 기울이고 있음을 행동으로 보여 주는 것이죠. 그리고 적극적인 태도는 말하는 사람의 이야기를 자신이 이해한 말로 요약해서 상대방에게 돌려주는 식입니다. 이렇게 해서 말하는 사람은 상대가 자신의 이야기에 집중하고 있다는 인식과, 자신의 생각을 한 번 더 정리해 보는 시간을 가질 수 있게 됩니다.

 

한 가지 사례를 통해 일상의 대화 장면에서 사회성 지능과 공감적 듣기가 어떻게 적용되는지 살펴보겠습니다. A는 오랜만에 친구 B와 만나 식사 중에 있습니다. 두 사람이 대화 중인 상황에 B가 어제 있었던 속상한 이야기를 꺼냈습니다. 

 

▪ ‘공감적 듣기’ 기술을 활용한 대화 방식 

- B: 어제 괜히 우울했는데, 갑자기 헤어스타일을 바꾸고 싶은 거야.

- A: (고개를 끄덕이며) 그랬구나. 그럴 때가 있지. (소극적인 공감적 듣기)

- B: 근데 미용실 직원들이 바쁜지 상담도 대충 해 주더라고.

- A: 정말? 너무하네. (소극적인 공감적 듣기)  

- B: 그래도 이왕 하기로 한 거 했는데… 결국 이렇게 망했어. 흑흑….

- A: 안 그래도 기분 안 좋은데, 직원들도 불친절하고… 머리까지 마음에 안 들게 돼서 정말 속상했겠다. 그래도 내 눈에는 너랑 꽤 잘 어울려 보이는데? (적극적인 공감적 듣기)

- B: 정말? 고마워. 너 덕분에 기분이 한결 좋아졌네.

 

▪  공감이 없는, 형식적인 대화 방식

- B: 어제 괜히 우울했는데, 갑자기 헤어스타일을 바꾸고 싶은 거야.

- A: 갑자기? 생뚱맞다, 얘.

- B: 그런가? 아무튼, 근데 미용실 직원들이 바쁜지 상담도 대충 해 주더라고.

- A: 직원들이 진짜 바빴나 보지.

- B: 그래도 이왕 하기로 한 거 했는데… 결국 이렇게 망했어. 흑흑….

- A: 그러니까 갑자기 아무 데나 가서 하면 안 된다니까!

- B: 뭐라고? 너 때문에 기분이 더 나빠졌어.


어떠신가요? 똑같은 상황이지만, 첫 번째 대화에서는 친구 B는 마음에 안 드는 헤어스타일 때문에 속상한 친구의 입장을 헤아리면서 감정을 이입해서 공감하고 또 위로해 주는 ‘공감적 듣기’ 기술을 적용하고 있습니다. 덕분에 속상했던 친구의 마음도 조금 풀어질 수 있었습니다. 반면에 두 번째 대화에서 친구 B는 A의 서운하고 속상한 마음에는 전혀 공감해 주지 않고, 오히려 즉흥적으로 헤어스타일을 바꾼 친구에게 면박까지 줘서 친구의 마음을 더 상하게 했습니다. 

긍정심리학자인 테이얍 라시드Tayyab Rashid는 사회성 지능을 키우기 위한 방법들을 다음과 같이 제시했는데요, 만약 여러분도 요즘 들어 사람들과 소통하는 데 어려움을 느끼거나 예전보다 갈등 상황이 더 잦아졌다면, 혹시 지금 나의 소통 방식에 문제는 없는지 점검해 보시고 도움을 받으시기 바랍니다.

 

① 상대방의 이야기에 반박하지 않고 경청하면서 상대의 이야기가 끝났을 때 자신의 느낌만 말한다. 대화를 나누는 동안 자신이 말할 차례만 기다려서는 안 된다.

② 누군가 내 기분을 상하게 한다면, 그 사람의 성격이나 인간성 때문이 아니라, 일시적이고 상황적인 요인 때문일지도 모르니 그 이유를 생각해 본다.

③ 타인의 감정에 잘 공감하면서 대화하는 사람이 주변에 있는지 찾아본다. 그 사람을 주의 깊게 관찰해 보고 배우고 싶은 사회적 기술이 있으면 자꾸 모방해 본다.

④ 가까운 사람에게 내가 그의 감정을 이해하지 못한 때가 있었는지, 앞으로 어떻게 그의 감정을 헤아려 주면 좋겠는지 물어본다. 

⑤ 4주 동안 매일 자신이 느낀 감정을 다섯 가지씩 기록하고, 그 패턴을 살펴본다. 자신의 주된 감정은 무엇인지, 어떨 때 감정적 패턴이 변화하는지, 주기적으로 영향을 주는 요인이 있는지 확인해 본다. 만약 긍정적인 감정보다 부정적인 감정을 더 많이 느낀다고 판단되면 그 원인은 무엇인지, 어떻게 하면 보다 긍정적인 감정을 더 많이 느낄 수 있을지 생각해 본다. 

 

'수지청즉무어(水至淸卽無魚), 인지찰즉무도(人至察卽無徒)'라는 말이 있습니다. 물이 너무 맑으면 고기가 없고, 사람이 지나치게 재거나 너무 살피면 주변에 사람이 없다는 뜻입니다. 우리가 주변 사람들과 관계를 맺거나 소통할 때 이 말을 기억한다면 어떨까 싶습니다.

솔직한 것도 좋지만, 때로는 너무 직설적으로 말하는 것이 상대의 마음을 다치게 할 수도 있습니다. 또 상대의 허술한 이야기에도 하나하나 따지며 시시비비를 가리기보다 ‘저런 허당미가 있었네.’라며 마음의 여유를 가지고 상대의 좋은 면으로 바라볼 수 있다면, 어느새 주변 분들로부터 공감 능력과 사회성 지능이 좋은 사람으로 기억될 수 있지 않을까요.

 

신림평온 정신건강의학과 의원 | 전형진 원장

http://www.psychiatricnews.net/news/articleView.html?idxno=34133내가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