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I와 신기(神氣)

페이지 정보

작성자 이창주 작성일23-04-15 18:24 조회90회 댓글0건

본문

신기(神氣)가 무엇인가는 노벨상 수상자들도 아직까지 규명하지 못한 문제이다. ‘신기’를 과학적으로 설명해 주는 연구 결과는 언제 나오는가. 이것에 대하여 과학적 해명이 아직까지 없다면 필자가 그동안까지 축적한 경험적 차원의 설명이라도 하는 수밖에 없다. 입 다물고 있을 수만은 없다. AI와 신기의 분기점은 텍스트라고 본다. 텍스트가 있는 것은 AI의 학습이 가능하다. 그러나 텍스트가 없는 분야, 텍스트 밖의 영역은 AI가 잡아낼 수 없다. 텍스트 밖의 영역은 신기의 영역이 아닌가 싶다. 그렇다고 한다면 창의성 내지는 창의력이 발휘되는 그 어떤 순간은 신기가 작동한 것이라고 생각한다.

아르키메데스가 목욕탕에 들어가는 순간에 섬광처럼 다가온 영감. ‘유레카!’ 이것도 신기의 작용이라고 본다. 발명왕 에디슨의 여러 가지 발명도 그 어떤 영감이 작동한 결과인데, 이 영감은 신기에서 왔다. 1980년대 초반 소설 ‘단(丹)’의 주인공이자 계룡산파의 장문인이었던 봉우 권태훈(1900~1994) 선생은 필자와 같은 20대 초반의 젊은 대학생들을 앉혀 놓고 이야기해 주셨던 기억이 지금도 아련하게 남아 있다.

추사 김정희 같은 인물의 글씨 쓰는 능력도 ‘서신통(書神通)’의 결과였다고 말이다. 추사는 글씨의 신, 즉 서신(書神)과 통한 사람이었다는 것이다. 한국 사람이 자주 쓰는 ‘신바람’, ‘신명(神明) 난다’와 같은 표현은 우리나라 사람들이 수천 년 동안 신기를 중시하고 신기의 효과를 체득했던 민족이었음을 보여준다. 현대 정주영이 처음 조선업을 시작할 때 500원 지폐에 그려져 있던 거북선을 보여주며 ‘우리는 중세부터 철갑선을 만들었다’고 한 대목도 순간적인 신기의 발현이 아닌가 싶다.

내가 만나본 기업 창업자들은 신기가 어느 정도는 있는 사람들이었다. 창업자의 신속하고 정확한 판단력의 바탕에는 신기가 있다. 그렇다면 신기의 원동력은 무엇일까? 첫째는 보호령이다. 보호령이 있는 사람들이 있는데, 그 보호령이 결정적인 순간에 영감이나 신기를 준다. 대개는 보호령이 조상신들이다. 둘째는 불교에서 말하는 아뢰야식, 즉 장식(藏識)이다. 장식은 깊은 무의식이다. 수많은 전생부터 축적한 모든 정보가 여기에 녹아 있다. 전생에 축적해 놓은 정보에서 신기가 발현된다. 신기는 무의식의 발로이기도 하다. 셋째는 하느님, 부처님, 알라와 같은 신들로부터 오는 기운이다. 가장 고전적인 의미의 신기에 해당한다. AI가 신기와 종교를 사라지게 할 수 없다.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