젓가락질도 힘들어져? '뻐근한 목뼈' 주의해야 하는 이유

페이지 정보

작성자 이창주 작성일23-03-16 09:08 조회188회 댓글0건

본문

경추 뻐근함 겪는 환자 작년 250만명...손 저린 느낌부터 젓가락질까지 어려워져


경추(목뼈)가 자주 뻐근하다면 흔히 목 디스크를 떠올리지만 경추척수증을 의심해볼 수 있다. 최근 스마트폰과 컴퓨터 이용이 늘면서 경추의 뻐근함을 호소하는 환자가 증가하고 있다. 건강보험심사평가원에 따르면 경추질환으로 의료기관을 찾은 환자는 지난해 250만명으로 2018년 221만명보다 늘었다.

경추척수증은 경추 부위의 척수가 눌려서 발생하며, 중추 신경이 눌리기 때문에 물리치료나 약물치료로 쉽게 낫지 않는다. 선천적으로 척수가 지나가는 통로가 좁거나 다양한 원인으로 척수에 압력이 가해지면서 생긴다. 척수는 뇌와 말초신경을 이어주는 역할을 하며, 우리 몸이 받아들인 여러 감각 정보를 뇌로 전달한다.

경추척수증 초기에는 손의 근력 약화, 저린 듯한 느낌, 부자연스러운 손놀림이 나타난다. 환자는 젓가락질이 어렵고 물건을 쉽게 놓치며, 옷 단추 채우기가 힘들다고 호소한다. 손가락이 저린 증상은 목 디스크와 비슷하므로 정확한 진단이 중요하다. 균형감각 및 지각기능에도 문제가 생길 수도 있다. 대소변 장애까지 동반된다면 심한 만성 척수증이라고 할 수 있다.

하지 근력의 약화로 걸음이 휘청거리는 등 보행장애가 나타날 수도 있다. 뿐만아니라 작은 충격에도 하지 마비 증상이 나타날 수 있어 주의해야 한다. 이는 뇌졸중 전조증상과 헷갈릴 수도 있지만 두 질환의 치료법은 다르므로 정확히 구별해야 한다.

경추척수증 환자는 증상이 서서히 악화돼 초기에 증상을 놓치는 경우도 적지 않다. 약물치료 등 보존적 치료로는 효과를 보기 어렵다. 척수는 중추신경으로 이미 죽은 신경은 재생되지 않기 때문이다.

경추척수증 수술은 척수나 신경근의 영구적인 변화가 발생하기 전에 이뤄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경추척수증은 척수가 눌리고 있는 상태이므로 척수가 지나가는 길인 척추관을 넓혀주는 방법으로 치료한다.

다만 척수 신경이 지나가는 척추관이 넓더라도 중증 추간판(디스크) 탈출증, 후종인대골화증 등이 있다면 척수증이 나타날 수 있다. 후종인대골화증은 척추뼈와 신경이 지나가는 길 사이에 있는 인대가 두꺼워지며 신경을 압박하는 질환이며, 주로 경추에 많이 발생한다.

경추 추간판탈출증, 척추관 협착증, 후종인대골화증 등과 동반된 경추척수증은 척추내시경 수술로도 치료할 수 있다. 척추내시경수술은 기존의 절개 수술과 비교해 조직 손상이 거의 없고 흉터가 작다.

세란병원 김지연 척추내시경센터장은 "척수증은 척수가 심하게 압박을 받고 혈액공급이 감소돼 있어 이 상태가 지속될 경우 신경의 기능상실과 더불어 신경세포의 괴사가 온다"며 "척수증 진단을 받았다면 수술적 치료를 고려해야 한다"고 말했다.

이어 "경추척수증은 55세 이상 환자의 척추관 장애에서 가장 흔한 원인"이라며 "뇌졸중과 목디스크로 오인하는 경우가 많지만 치료방법, 경과가 완전히 다르기 때문에 적절한 진단이 필수"라고 강조했다.

최지혜 jhchoi@kormedi.com

http://n.news.naver.com/mnews/article/296/0000063332?sid=103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